Tuesday, October 11, 2011

용언


용언(=서술어)

1) 동사와 형용사

   1> 동  사 : 문장의 주체가 되는 사람의 동작이나 자연의 작용을 표시.
   2> 형용사 : 사물의 속성(성질)이나 상태를 표시.
     ㈀ 성상 형용사 ;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) 맛이 달다. 배가 고프다. 산이 높다.
     ㈁ 지시 형용사 ; 지시성을 띤 형용사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) 내 생각도 역시 그러하다.(이러하다. 어떠하다. 그렇다. 저렇다. 아무렇다.)

   3> 본용언과 보조 용언
     ㈀ 본용언 :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. 실질적인 뜻이 담김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) 감상을 적어 두다. 운동장이 별로 넓지 아니하다.
     ㈁ 보조 용언 : 다른 말에 기대어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용언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자립성이 희박하거나 결여됨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) 나도 철수를 따라가고 싶다.

   4> 보조 동사
     ㈀ 부정 ; (-지) 아니하다(않다). 말다. 못하다.
     ㈁ 사동 ; (-게) 하다. 만들다.
     ㈂ 피동 ; (-아/-어) 지다. (-게) 되다.
     ㈃ 진행 ; (-어) 가다. 오다. (-고) 있다. 계시다.
     ㈄ 종결(완료) ; (-고) 나다. (-아) 내다. 버리다. (-고야) 말다.
     ㈅ 봉사 ; (-어) 주다. 드리다.
     ㈆ 시행 ; (-어) 보다.
     ㈇ 강세 ; (-어) 대다. (-어) 쌓다.
     ㈈ 보유 ; (-어) 두다. 놓다. 가지다.
     ㈉ 짐작 ; (-아/-어) 보이다.
     ㈊ 시인 ; (-기는) 하다
     ㈋ 당위(필연) ; (-어야) 한다

   5> 보조 형용사
     ㈀ 희망 ; (-고) 싶다.
     ㈁ 부정 ; (-지) 아니하다(않다). 못하다.
     ㈂ 추측 ; (-는가/-ㄴ가, -나) 보다. 듯하다. (-나, -가) 싶다.
     ㈃ 상태 ; (-어/아) 있다. 계시다.
     ㈄ 시인 ; (-기는) 하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■ 보충 학습

* 용 언
1) 용언만이 형태 변화를 한다.
2) 주로 서술어가 되나 때에 따라 여러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.
3) 부사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나, 관형어와 호응하지 않는다.

* 동사 / 형용사의 구별
1) 동작을 의미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동사,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.
       예) '-는다/-ㄴ다(진행), -러/-려고(목적, 의도)'
2) 명령형, 청유형 어미와 결합하면 동사,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.
       예) '-어/아라'가 형용사와 결합하면 감탄형 어미이다.
3) 동작상(動作相,동작의 양상)과 결합하면 동사,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.
       예) '-고 싶다,-고 있다.-(으)러 온다'
4) '없다, 계시다. 아니다'는 형용사이다.
5) '있다'는 동사, 형용사로 통용된다.
        ① 존재, 진행의 의미일 때는 동사처럼 활용.        예) 철수가 있다. 같이 있자.
        ② 소유, 상태의 의미일 때는 형용사처럼 활용.     예) 나는 돈이 있다.
6) 품사 통용어 ; 크다(형)-큰다(동), 넓다-넓혔다, 기쁘다-기뻐한다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좋다-좋아지다, 밝다-밝는다, 맑다-맑는다, 붉다-붉는다

* 보조 용언과 본 용언의 구별
  용언과 용언이 이어질 때, 뒤의 용언(보조)이 앞의 용언(본)의 뜻을 도와주는 용언이 된다.
  따라서 뒤의 용언을 단독으로 쓰면 문법에 어긋나서, 서술어가 될 수 없거나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다.
       예) 나는 밥을 먹고 잤다. →나는 밥을 먹었다. + 나는 (잠을) 잤다.
            나는 철수를 따라가고 싶다. → 나는 철수를 따라간다.(본) + 나는 철수를 *싶다.(보조)
            감상을 적어 둔다. → 감상을 적는다.(본) + 감상을 *둔다.(보조)

*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의 구별
1) 선어말 어미 '-는/-ㄴ'이 붙으면 보조 동사, 그렇지 않으면 보조 형용사.
       예) 책을 읽어 본다.(동) , 책을 읽는가 보다.(형)
            먹지 않았다.(않는다) , 집이 크지 않았다.(*않는다)
2) 본 용언의 품사에 따라 구별한다.
       예) 가지 못한다.(동) , 예쁘지 못하다.(형)
3) 보조 용언의 어간에 '-는다'를 붙일 수 있으면 동사, 없으면 형용사.
       예) 듣지 않았다. => 듣지 않는다.(동)
             돕는 듯했다. => 돕는 *듯한다.(형)
4) 동사 뒤에 보조 형용사가 올 수 있고,형용사 뒤에도 보조 동사가 온다.
       예) 잠을 자고 싶다.   높이를 높게 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동) (보형)            (형) (보동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■ 용언의 활 용

   1> 어간, 어미, 기본형
     ㈀ 어간 ;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(줄기가 되는) 부분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강세, 사동, 피동을 뜻하는 접사는 어간의 일부로 침.
     ㈁ 어미 ; 활용할 때 변하는 부분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시제, 높임, 겸양을 표시하는 의존 형태소는 어미로 침.
     ㈂ 기본형 ; 어간에 어미 '-다'를 붙인 말.

   2> 활용형의 종류
     ㈀ 종결형 ; 문장을 끝맺는 활용형.(평서, 감탄, 의문, 명령, 청유)
     ㈁ 연결형 ; 문장을 연결 시켜 주는 활용형.(대등적, 종속적, 보조적)
     ㈂ 전성형 ; 문장의 기능을 전성시키는 활용형.(관형사형, 명사형)

 3) 불규칙 활용

   1> 규칙 : 모습이 바뀌지 않거나, 바뀌어도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.
     ㈀ 모음 조화 ; '-아/-어'의 교체
     ㈁ 축약 ; 보 + 아 -> 봐
     ㈂ 탈락 - ① ㄹ 탈락: 울 + 는 → 우는, 울 + 오 → 우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② 으 탈락: 쓰 + 어 → 써, 치르 + 어 → 치러
           ※ 동, 형의 어간 끝에 있는 'ㄹ'은 'ㄴ'앞에서 예외 없이 탈락하며 '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'으'는 모음과 만날 때 꼭 탈락한다.

   2> 불규칙 :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. 불규칙적인 것.
     ㈀ 어간이 바뀌는 불규칙
        ① ㅅ 불규칙 : 짓다, 젓다, 붓다, 낫다 / 벗다, 빗다, 솟다, 빼앗다
        ② ㄷ 불규칙 : 듣다, 싣다, 붇다, 묻다(問),긷다 / 묻다(埋), 얻다, 돋다
        ③ ㅂ 불규칙 : 돕다, 눕다, 깁다 / 뽑다, 잡다, 좁다, 씹다, 입다
        ④ 르 불규칙 : 이르다(早),부르다, 타오르다, 흐르다, 누르다(壓)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가르다 / 치르다, 들르다
        ⑤ 우 불규칙 : -푸다 / 주다
     ㈁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
        ① 여 불규칙 : -하다 / 막다, 사다, 차다
        ② 러 불규칙 : 이르다(至), 푸르다, 누르다, 노르다(黃) / 치르다, 들르다
        ③ 거라 불규칙 : -가다 / 사다, 차다, 타다, 울다
        ④ 너라 불규칙 : -오다 / 웃다, 보다
     ㈂ 어간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
        ① ㅎ 불규칙 형용사 : 파랗다, 누렇다, 빨갛다, 까맣다 / 좋다, 놓다


■ 보충 학습

*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

과거
현재
미래
회상
동   사
-(으)ㄴ
-는
-(으)ㄹ
-던
형용사
-던
-(으)ㄴ
-(으)ㄹ
*

* 보조 용언 '- 있다'
1.'-고 있다' ; 진행의 뜻으로 쓰면 보조 동사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) 가고 있다. 부르고 있다
2.'-어 있다' ; 상태의 뜻으로 쓰면 보조 형용사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) 떠(뜨어) 있다.
3.'- 있다'의 부정어는 '-없다'가 아니고,'-있지 아니하다'이다.

* 어근(語根)과 어미(語尾)
 =>어근은 접사의 상대 개념이며,어간은 어미의 상대 개념이다.
   예)  먹(어근) + 이(사동접사) + 다      /  먹이(어간) + 다(어미)
         깨(어근) + 뜨리(강세접사) + 다   /  깨뜨리(어간) + 다(어미)
        
* 서술격 조사 '-이다'의 활용
1. 모음으로 끝난 말 뒤에서도 '이'를 생략할 수 있음.
2. 활용 모습은 형용사와 비슷하나 '로'가 첨가 되기도 하여 형용사 중에서도 '아니다'와 아주 비슷함.
       예) 책상이다.   *책상인다.   가을이로군.


4) 어미

   1> 어말 어미와 선어말 어미
     ㈀ 어말어미 : 단어의 끝에 오는, 단어를 끝맺는 형태소.
     ㈁ 선어말어미 : 그 자체만으로는 단어를 끝맺을 수 없고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반드시 어말어미를 필요로 하는 형태소.

   2> 어말 어미의 갈래
     ㈀ 종결 어미
          ① 평서형 : 먹는다, 먹네, -(으)오, -(으)ㅂ니다
          ② 감탄형 : 먹는구나, -로구나, -구려, -구나, -도다
          ③ 의문형 : 먹느냐, -는가, -니, -(으)ㅂ니까, -오, -가(아)
          ④ 명령형 : 먹어라 -게, -(으)십시오, -(으)오, -(어)요
          ⑤ 청유형 : 먹자, -세, -(으)십시다, -아/어, -(으)ㅂ시다
     ㈁ 연결 어미 - 의미상,확실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.
          ① 대등적 연결 어미 ; 동류 개념의 연결 : -고, -며, -면서
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반대 개념의 연결 : -거나, -든지, -느니
          ② 종속적 연결 어미 ; -으면, -니, -려고, -니까, -ㄹ수록, -ㄹ뿐더러
          ③ 보조적 연결 어미 ; 일반 서술 : -아/어('야'를 붙이기도 함)
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상태 서술 : -게
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부정 서술 : -지
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진행 서술 : -고
     ㈂ 전성 어미
          ① 관형사형 어미 : -(으)ㄴ, -는, -(으)ㄹ, -던
          ② 명사형 어미 : -기, -(으)ㅁ

   3> 어미 결합의 제약
     ㈀ 대부분의 동사는 모든 어말 어미를 취할 수 있으나,
         일부 동사(불완전 동사)는 활용이 불완전하여 몇몇의 제한된 어미만을 취함.
     ㈁ 동사에 비해 형용사, 서술격 조사는 어말 어미와의 결합에 많은 제약이 있다.
          예) 영희야, 얼굴이 *예뻐라. *예쁘자.(명령형,청유형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얼굴이 *예쁘러 미장원에 간다. (목적,의도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그는 공무원*이고서, 학자이다.(대등적 연결 어미의 시간나열)


■ 보충 학습

* 어말 어미와 선어말 어미
1.'-것-'(확인,습관), '-렷-'(추측,확인), '하느니라'의 '-니-'(원칙) 등은 평서형 어미 '-다'의 앞에서만 나타난
    다.
   '하느냐,하는'의 '-느-'는 의문형 앞에서만 나타난다.
    이러한 용법상의 제약을 고려하여 '-것다, -렷다, -느냐, -는' 등으로 합쳐서 어말 어미로 본다.
        예) 저물어야 돌아오것다.  나에게 다짐했것다.  밖에는 비가 오렷다. 어디서 오느냐?
2. 선어말 어미에는 높임,시간 표현, 공손의 어미가 있는데 대체로 그 순서가 고정되어 바꿀 수 없다.
        예) 높임 ------------------> 시제 ------------------> 공손
             '-시-'               '-ㄴ/는,-았/었,-겠,-더'               '-옵-/-오-'
3.'-겠-'은 시제로 미래를 뜻하나,추측과 의지를 표현하기도 한다.
        예) 오늘은 비가 오겠지.(추측)
             제가 가겠습니다.(의지)
4. 본 용언과 보조 용언은 하나의 서술어이다.

* 보조적 연결 어미 '-게,-고'는 경우에 따라 다른 기능을 갖는다.
1. 형이 힘들지 않게, 너도 짐을 나누어 져라.(종속적 연결 어미)
   밖이 잘 보이게 창문을 열어라.(종속적 연결 어미)
2. 나는 공부하고 동생은 놀았다.(대등적 연결 어미)
3. 하늘이 맑게 개었다.(부사어=부사적 기능)

* 부정문 만드는 법
  -> 종결 어미에 따라 다르다.
        ① 평서문, 의문문, 감탄문 - '않다'를 붙인다.
        ② 명령문, 청유문            - '말다'를 붙인다.

* 불완전 동사
1. '데리다, 가로다, 달다, 다그다(접근)'
2. 조사 '에,를,과' 뒤에  '대하다, 비롯하다, 관하다, 의하다, 위하다, 말미암다, 즈음하다, 더불다, 서슴다' 등이
    붙으면 한정된 어미만 취한다.

主要看辅助动词和辅助形容词,以及后半部分的不规则接续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